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의 전당
2018년 09월 15일 00시 49분  조회:3815  추천:0  작성자: 죽림

 

순(順)아 너는 내 전(殿)에 언제 들어왔든 것이냐?"

내사 언제 네 전(殿)에 들어갔든 것이냐?

 

우리들의 전당(殿堂)

고풍(古風) 한 풍습이 어린 사랑의 전당(殿堂)

 

(順)아 암사슴처럼 수정눈을 나려감어라.

난 사자처럼 엉크린 머리를 고루련다.

 

우리들의 사랑은 한낱 벙어리였다.

 

청춘!

성스런 촛대에 열(熱)한 불이 꺼지기 전

순아 너는 앞문으로 내달려라.

 

어둠과 바람이 우리 창에 부닥치기 전

나는 영원한 사랑를 안은 

뒷문으로 멀리 사라지련다.

 

이제

네게는 삼림 속의 아늑한 호수가 있고,

내게는 험준한 산맥이 있다.

               1938.6.19.


================

 

이 시에서도 순이(順伊)라는 이름이 나오는군요.

윤동주 시인한테는 여자친구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요.

1941년에 쓴 시 「바람이 불어」에는 "단 한 여자를 사랑한

일도 없다."라는 구절도 나옵니다.

윤동주 님의 시적화자의 고백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정말

윤동주님의 진짜 삶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윤동주 님의 시 세 편에는 순이(順伊)라는 이름이 등장합니다.

「소년」, 「눈 오는 지도」, 그리고 「사랑의 전당」입니다.

 

 

사랑의 전당이란 순이와 함께 하기 때문에 행복한 공간이고,

순이와의 교감을 꿈꾸며 희망을 되새기는 공간이겠지요.

 

 

가을이 떠나고 겨울이 찾아오면 왠지 모르게 외롭다고 느껴지고

누군가를 가슴 아리도록 그리워지기도 합니다.

 

삶이 고달프고 어려운 난관에 좌절하고 힘들어할 때

이때 윤동주 님의 시 한 편을 읽으면 마음의 여유가 생기고,

삶이 고달픈 것만도 아니라고 생각되고 마음의 위안이 되지요..

 

 

=====================///
사랑의 전당이라는 시에서는 '순이'라는 이름이 자주 언급되지만, 윤동주 시인은 <바람이 불어>에서 '단 한 여자를 사랑한 일도 없다'라는 글을 썼습니다.
'순이'가 언급된 윤동주의 다른 시 그리고 시대상 배경을 고려해 본다면 이 시에서의 '순이'를 '조국'에 빗대어 해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랑의 전당'이라는 공간은 순이와 시인만의 행복한 공간을 의미하는 것 같고요.
'고풍한 풍습이 어린 사랑의 전당'은 마치 강점기 이전의 조국과 시인의 행복했던 시절을 추억하는 느낌이네요.
'삼림 속의 아늑한 호수'는 광복 후의 조국의 모습을 그린 것 같습니다.

조국을 위해 일생을 몸 바치고 젊은 나이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윤동주 시인을 다시 마음으로 기릴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70 사투리는 향토인의 살과 피이자 호흡이다... 2022-06-08 0 2632
1569 나는 어떻게 조선족이 되었나 / 남영전 2021-12-20 0 2284
1568 [문단소식]- 훈춘 김동진시인 "풍경소리" 울리다... 2021-09-07 0 2264
1567 [시공부사전] - 담시(譚詩)? 2021-05-29 0 2649
1566 하이퍼시 명언 21 / 최흔 2021-05-25 0 2685
1565 하이퍼시 명언 20 / 최흔 2021-05-25 0 2672
1564 하이퍼시 명언 19 / 최흔 2021-05-25 0 2458
1563 하이퍼시 명언 18 / 최흔 2021-05-25 0 2508
1562 하이퍼시 명언 17 / 최흔 2021-05-25 0 2454
1561 하이퍼시 명언 16 / 최흔 2021-05-25 0 2484
1560 하이퍼시 명언 15 / 최흔 2021-05-25 0 2612
1559 하이퍼시 명언 14 / 최흔 2021-05-25 0 2318
1558 하이퍼시 명언 13 / 최흔 2021-05-25 0 2573
1557 하이퍼시 명언 12 / 최흔 2021-05-25 0 2579
1556 하이퍼시 명언 11 / 최흔 2021-05-25 0 2487
1555 하이퍼시 명언 10 / 최흔 2021-05-25 0 2545
1554 하이퍼시 명언 9 / 최흔 2021-05-25 0 2592
1553 하이퍼시 명언 8 / 최흔 2021-05-25 0 2407
1552 하이퍼시 명언 7 / 최흔 2021-05-25 0 2388
1551 하이퍼시 명언 6 / 최흔 2021-05-25 0 2525
1550 하이퍼시 명언 5 / 최흔 2021-05-25 0 2420
1549 하이퍼시 명언 4 / 최흔 2021-05-25 0 2474
1548 하이퍼시 명언 3 / 최흔 2021-05-25 0 2527
1547 하이퍼시 명언 2 / 최흔 2021-05-25 0 2558
1546 하이퍼시 명언 1 / 최흔 2021-05-25 0 2594
1545 토템시에 대한 탐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 김룡운 2021-05-24 0 2439
1544 토템과 민족문화 / 현춘산 2021-05-24 0 2226
1543 남영전 토템시의 상징이미지/ 현춘산 2021-05-24 0 2710
15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시인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0 0 2722
1541 시인 최기자/ 소설가 허련순 2021-05-03 0 2511
1540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6 2021-03-02 0 2574
1539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5 2021-03-02 0 2660
1538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4 2021-03-02 0 2428
1537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3 2021-03-02 0 2839
1536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2 2021-03-02 0 2763
1535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1 2021-02-19 0 2821
1534 [시공부] - 투르게네프 산문시 2021-01-18 0 3048
1533 [시공부] - 김기림 시인 2021-01-18 0 3417
1532 [타산지석] - 늘 "이기리"... 꼭 "이기리"... 2020-12-28 0 3219
1531 토템시/ 범= 남영전, 해설= 현춘산(8) 2020-10-10 0 3102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